지난해 8월 모처럼 전국 안경사들이 하나로 뭉쳤다. 정부의 일반인 법인안경원 설립 허용을 골자로 하는 진입규제업종 개선정책에 반대하는 대한안경사협회의 활동에 전국 각 지부 안경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이다.

이같은 안경사들의 움직임에 정부도 일단 지난해까지 해당 사안을 유보한다는 입장을 밝혀 문제는 일단락 됐다. 그러나 당시 정부가 진입규제 업종 개선정책을 완전히 철회한 것은 아니었다. 유보 입장을 밝힌 것이지 원천무효를 선언한 것은 아니었다.

정부는 언제든 기회를 보아 다시 그 카드를 꺼내 들 수 있다. 또 진입규제업종 가운데 일부 업종 관계자들의 동의를 얻어낼 경우 해당 사안을 급속도로 다시 추진할 가능성도 열려있다.

최근 안경업계에 올 여름 위기설이 떠돌고 있다. 올 8월께 진입규제 업종 관련 사안을 재공론화하면서 순식간에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여기서 눈여겨볼 점은 정부가 정책을 추진하면서 ‘안경원’ 등 특정 업종만 별개로 처리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사실이다.

오는 8월 쯤이면 6월 지방선거 정국도 완전히 가라앉은 시점이고 이쯤해서 정부는 개헌론을 본격화하는 한편, 종편방송사업자 선정, 금융법 개정 등 굵직한 사안을 처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전국민의 눈과 귀가 이러한 사안에 쏠리는 사이, 지난해부터 벌여놓은 서비스산업 선진화와 진입규제업종 개선정책 등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일부 발 빠른 업체는 정부가 일반인 법인안경원 허용 정책을 본격 시행할 경우 현재의 시장구도와 전혀 다른 환경이 전개될 것으로 보고 대응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아직 많은 업체와 안경계에 이같은 위기감이 폭넓게 확산되지는 않고 있다.

불과 수개월 앞을 내다보고 대비하는 자세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안경계를 둘러싼 국내 정치·경제 환경은 앞만 보고 달리고 있는데 정작 당사자인 안경계는 제자리걸음만 거듭하는 셈이다.

이제부터라도 관련 사안을 다시 끄집어내 점검하고 정부와 업계 동향을 치밀하게 분석하며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안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