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해 경기 체감지수 80% 나빠졌다고 응답해

소상공인 3명 중 1명꼴로 최근 1년 사이에 휴업이나 폐업을 고려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종사자 5인 미만, 소상공인 500개사를 대상으로 ‘소상공인 경영실태 및 정책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 대상의 33.6%가 최근 1년 내 휴·폐업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고려한 적 없다는 응답은 66.4%였다.
휴·폐업을 고려한 적이 있으나 실제 폐업을 하지 못한 이유(복수응답)로는 ‘매수자 없음’이 6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폐업 후 생계유지 부담’ 58.9%, ‘권리금 회수 어려움’ 41.1% 등 순이었다.
올해 체감 경영수지에 대해서는 전체의 80%가 나빠졌다고 답했다. ‘매우 악화’가 48.2%, ‘다소 악화’가 31.8%로 지난해 대비 올해 경기 상황에 대해 더욱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아졌다’는 답은 2.2%에 불과했다.
경영수지 악화 원인(복수응답)으로는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판매부진’을 꼽은 응답이 83.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재료비 원가 상승’ 27.8%, ‘동일업종 소상공인 간 경쟁 심화’ 27.3%, ‘인건비 증가’ 22.3% 등이었다. 응답자 계층별로는 기업형태가 가맹사업체(대리점)(90.6%), 종업원 수가 없는 사업체(89.9%), 2018년 매출액이 5,000만원 미만인 사업체(89.6%)에서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판매부진’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비 올해 매출액 변동을 묻는 질문에 대부분의 사업체(77.4%)가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계층별로는 기업형태가 가맹사업체(대리점)에서 85.2%로 가장 ‘감소’했다는 응답이 많이 나왔고, 2018년 매출액 5,000만~1억원 미만 사업체(82.7%), 사업장형태가 자가인 사업체(82.0%)그 뒤를 이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사업체에게 얼마나 감소하였냐는 질문 결과, ‘20%초과~40%이하’ 응답이 42.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뒤를 ‘20%이하’, ‘40%초과~60% 이하‘, ’60%초과~80%이하‘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계층별로는 18년 매출액이 5,000만~1억원 미만 사업체에서 ‘20%초과 ~ 40%이하’ 응답이 58.2%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사업체에게 얼마나 증가하였냐는 질문 결과, ‘10%’ 응답이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뒤를 ‘20%’, ‘30%’, ‘5%’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계층별로는 18년 매출액이 3억~5억 미만 사업체에서 ‘10%’ 응답이 100%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분기 이후 전망에 대해서도 ‘나빠질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59.6%에 달했다. 호전 시기에 대한 질문에는 ‘호전 불가’라는 답이 53.4%를 나타냈고 ‘2022년 이후’가 21.1%, ‘2021년 이후’가 14.4%를 차지했다. 올해 인력 운용 계획과 관련해 ‘증원하겠다’는 응답률은 1.4%, ‘줄이겠다’는 응답률은 3.4%로 각각 나타났다.
한편 대부분 소상공인은 1주일에 6일 이상 영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영업’이 47.6%, ‘7일 영업’이 30.8%였다. 하루 평균 영업시간도 ‘11시간 이상’이라는 비율이 40.4%에 달했다.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경영 활성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자금지원 확대 및 세금부담 완화’라는 답이 51.8%였고, 이어 ‘대기업의 소상공인 영역 진출 제한’이 25.2%였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우리 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이 생각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소비 위축과 내수 부진을 극복하고 경제활력을 회복하기 위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안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