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택트렌즈 이론

Q. 비구면 RGP 렌즈 껴봤는데

오늘 비구면 RGP 렌즈를 껴봤는데, 10.3mm 짜리로… 전엔 TR만 껴보다가 정품 껴보는건 오늘이 처음이었느데 궁금한건요. 적응시간이랑 관리방법이거든요. 오늘은 첫날이라 3시간 꼈는데 일주일 동안 매일 2시간씩 적응 시간을 늘려가라던데 맞나요? 전 충혈은 없ㅇㅆ고, 왼쪽만 좀 눈부심 현상이 있었으며, 오른쪽은 거의 정상이었거든요. 그리고 렌즈 관리 방법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소프트렌즈는 대충 아는데 RGP는 첨이라서요.

A. 저 역시 비구면 궁금한 것이 있어서 몇자 적습니다. 저도 얼마전 같이 일하시는 선생님 도움으로 비구면 렌즈를 쓰고 있어요. 왜 비구면은 사이즈가 더 큰지 오히려 딱딱한 렌즈가 클수록 이물감이 더 크지 않을가요? 그리고 눈을 움직일 때 마다 걸리적 거리고 양옆을 볼 때, 그리고 특히 위를 볼 때 심했습니다. 또 한가지는 비구면 렌즈를 권장해줄 수 있는 사람은 어떤사람이 있는지요? 정말로 일반 RGP보다 비구면이 더 단가가 센만므의 가치가 있는지요?

A. 렌즈가 크게 나오는 이유는 우리 눈은 비구면 형상인건 잘 아실겁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구면렌즈의 dia 9.3 기준으로 상하 size가 나옵니다(환자의 상태에 따라 dia 조정이 필요). 지금 님께서 사용하시는 비구면은 편심률로 인한 전체 비구면이라 생각되어지는데 비구면 처리 하려고 많은 dia 조정이 있었습니다.
우리눈은 비구면형상으로인해 9.3mm로 비구면을 처리했을 경우 편심률을 따져서 처리했을 경우 중심부의 압박은 심하게 나타나겠죠. 그러다보니 중심보다는 주변부를 생각하는 단계 9.8mm, 10.3mm가 중심부도 맞추면서 주변부까지 만족을 느끼게 되는 장점이 있겠습니다.
그리고 비구면이라고 해서 어느 누구에게라도 맞는 것은 아닙니다. 안검의 눌림으로 인한 불편함은 도리어 역효과를 낼수 있으니까요.(저 같은 경우죠. 환자를 선택할 때 동공 및 안검의 반전 등을 봅니다). 렌즈만 좋으면 된다기 보다 환자가 편해야 합니다. 렌즈의 재질은 많은데 전에부터 이에 관해 많은 연구를 해오면서 지금의 렌즈 재질이 나온거죠. 물론 고산소투과률의 재질을 해야만 dia의 크기로 인한 산소투과률을 해결할 수 있는거죠. 그로 인해 가격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RGP의 실패를 보신분들에게 이러한 렌즈를 권해 성공했을 경우 환자는 만족감을, 우리는 자부심을 갖는게 아닐까요.

A. 비구면도 편심률에 의한 비구면과 중심 구면 주변 비구면렌즈가 국내에 유통되죠.
관리방법은 일반 RGP와 다를 것은 없습니다.
1. RGP 전용으로 세척하면서 렌즈면을 깨끗이 하고, 너무 세게 힘을 받으면 착용하면서 실리콘 재질 때문에 렌즈의 뒤틀림이 올 수 있습니다. 구입하신 렌즈의 경도를 확인하세요.
2. 적응기간의 착용시간대는 일반 RGP는 2시간대 기준으로(때로는 3시간대) 하루하루 연장하면서 착용하는데 이것은 렌즈 가장자리부분의 눈물의 고임으로 인한 난반사 영향으로 2-3시간대를 주어지지만 비구면 같은 경우는 일단 눈부심현상이 최소화한다는 이유와 dia로 인해서 dk가 높은 재질로 렌즈를 만들기 때문에 RGP보다는 1시간 정도 더 착용시간을 잡아도 무리는 없습니다. 더 상세한 내용은 각 회사마다 렌즈 사용 설명서가 구비되어 있습니다.


Q. 4중 커브 비구면이 각막을 누르지 않나요?

4중 커브 비구면에서 10.2mm 정도이고, -10.00D인 렌즈는 후면커브 디자인에 따라 눈을 많이 누르지 않는지요? 예를 들어 steep하게 처방하거나 움직임이 적으면, 각막에 압력을 증가시켜 드림렌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지요? optic zone과 2차 커브의 굴곡이 오히려 각막을 누르지는 않는지요?

A. 실제로는 각막의 정점 부위는 구면에 가깝고 주변부로 갈수록 그 형태가 타원-포물선-쌍곡선의 형태로 변하기 때문에 한 마디로 각막을 정의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렌즈의 직격이 커질수록 각막의 주변부를 덮어야 하니 그 만큼 각막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한 디자인이 요구된다 하겠습니다.
그리고 드림렌즈는 우리가 흔히 하는 말로 역기하 렌즈라고 부르는데 말 그대로 기하학적인 구조가 반대를 이루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선생님께서 질문하신 주변부 압박으로 인한 근시 억제와 같은 효과는 없다고 봅니다.


◆ 소프트토릭렌즈 처방·피팅

Q. 국내 thin zone 방식이 어떤 것들이 있나요?

A. Thin zone에서는 멀티커브 처리가 가능하므로(눈물 순환도 좀 되고), 또한 프리즘 밸러스트처럼 추가 있는 무게편심이 아니라 전체 적으로 무게가 비슷하니까 중심잡기는 더 좋다는 거겠죠? 7.5~7.8 정도가 바이오토릭에서 잘 맞았다는 임상인데, 하지만 CT와 edge lift의 변화를 주고, Dia 등의 변화를 주면 모든 사람의 커브를 맞출 수 있지 않나요?

A. 소프트도 구면이든 토릭이든 기본적으로 커브를 맞춰야 하는데, 만약에 손님 눈의 커브가 7.8 이라면 소프트렌즈의 커브는 8.4~8.6이 가용범위가 됩니다. 눈의 커브 +0.6, 또는 +0.8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렌즈 직경이 14mm 일때의 8.6커브인 렌즈와 직경이 13mm이고 8.4커브인 렌즈는 결국 거의 같은 커브의 렌즈가 되는 겁니다.
렌즈의 직경이 줄어들면 커브가 작아지는 것이므로…(렌즈 모양을 생각해 보시면 이해되시죠?)
그리고 또 중요한건 이렇게 이론으로 해도 실제 임상에서 맞니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렌즈 착용후 슬릿램프로 렌즈의 움직임을 보셔야합니다.

A. 저희 안경원에서는 렌즈를 할 때 이정도 선에서 검사를 하고 있는데 슬릿램프가 없으시면 버튼램프로 렌즈의 움직임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슬릿램프로 눈을 보시면 정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안경원에서 슬릿램프를 보는 건 불법이죠. 그리고 슬릿램프 있는 안경원도 잘 없는게 현실입니다.

A. 렌즈 착용후 검사는 정적 검사와 동적 검사가 있습니다. 정적 검사는 렌즈를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렌즈의 중심안정, 윤부의 덮는 정도등과 눈을 상하좌우로 움직일 때 렌즈의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고 동적은 눈을 깜박일 때 렌즈가 하안검으로 내려오는 속도와 위치를 보는 법입니다.

A. 소프트 렌즈는 5분 후부터 탈수가 되어 있는 상태가 됩니다. 착용후 5분이 지난 후에 이런 검사를 해야 정확하죠. 소프트 렌즈의 움직임은 눈물 교환으로 산소를 공급한다는 의미보단 렌즈안에 있는 불순물을 배출하는 의미가 큽니다. 그러기에 적당한 움직임은 중요합니다. 렌즈는 같지만 해주는 사람에 따라 다른게 렌즈입니다.

A. 버튼 랜프도 없다면 문진이 있는데, 아침에 일어나면 눈이 뻑뻑하지 않느냐, 선풍기 에어컨 온풍기의 바람을 직접 대하면 눈이 말라서 눈물이 나지 않느냐, 충혈은 잘 되느냐 등을 질문해서 건안의 소견을 살필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 문진이 건안 환자를 판단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A. BC만을 의존한 처방은 성공률이 반정도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VHID가 처방에 더 유용하다는 보고도 있고, 토릭의 경우 외국의 디자인을 보면 한가지만으로 되어있지 않습니다. 프리즘 방식과 thin zone 등 무게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방식이라면 장점 등을 섞어서 디자인에 반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건성안과 콘택트렌즈

Q. 스핀캐스팅 공법이 건성안에 왜 좋지 못하나요?

소프스핀이 스핀캐스팅 공법인데 건성안에 좋지 않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비구면이라서 그런가요?

A. 제가 이해하는 범위안에서 말씀을 드리면 회전 주물 속에서 만들어져 주변부가 얇고 엣지부분이 넓습니다. 착용 후 렌즈가 말라들어가기 시작하면서 주변부가 오그라 들어 렌즈의 엣지부분과 각막이 붙게 됩니다. 그러면 렌즈의 무빙이 없어지고 눈물의 순환이 이뤄지지 않습니다. 착용감은 당분간 좋아질 수 있는데 렌즈를 뺀 후에 부종으로 쓰라리고 각막 상피에 상처도 날 수 있습니다.
렌즈 착용 후 슬릿 램프로 보시면 이런 현상을 쉽게 보실 수 있고 그런 뒤에는 다른 종류의 렌즈나 무빙이 있는 렌즈를 쓰면 착용감은 상당히 좋지 않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다른 렌즈는 착용감이 안좋다는 이유로 착용을 꺼리게 되지요.

저작권자 © 한국안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