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 동아시아 근시 문제 조명

“한국과 중국, 일본 등 교육열이 높은 동아시아 지역 청소년들이 야외활동을 하지 않고 교실에서 공부만 해 근시가 많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12일 동아시아 지역 청소년 근시문제를 조명하며 이와같이 분석했다.
보도에 따르면 과거 동아시아에서는 근시가 흔하지 않았지만 1960년대 경제성장을 시작한 이후 수십 년간 급격히 증가했다고 한다. 한국은 서울의 고등학교 졸업생 97%가 근시로 조사됐으며 대만도 1983년 전국 단위 조사에서 졸업생의 70%가 제대로 보려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으나 최근 그 수치는 8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화가 늦었던 중국은 1960년대 20~30%가 근시였지만 지금은 대만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홍콩과 싱카포르 역시 별반 다르지 않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다. 서구의 경우 2015년 발표 논문에 따르면 유럽의 근시비율은 20~40%가량이고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17~19세의 59%가 근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는 “서구 국가 역시 근시 비율이 높은편이지만 동아시아 국가는 훨씬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근시로 인한 사회적 비용 역시 만만치 않다. 비싼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평생 써야하고 고도 근시로 생활에 불편을 겪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2019년에는 시력이 한 디옵터 나빠질 때마다 황반변성이 발생할 확률이 67% 증가한다는 연구논문이 나오기도 했다.
그렇다면 동아시아 국가에서 근시 비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연구자들은 유전보다는 교육과의 연관성에 주목했다. 호주 국립대 이안 모건 박사는 “학생의 교육 수준과 성적이 높을수록, 방과 후 수업과 과외에 더 많이 참여할수록 근시가 될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야외활동이 부족해 햇빛을 받지 못하다보니 안구 형태가 길어지는 근시가 될 수 있다는 주장도 함께 제기됐다.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호주 시드니 등지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된 조사에서 야외에서 시간을 보낼수록 근시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활동을 하느냐보다 밖에 있다는 것 자체가 중요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밝은 빛에 노출되면 망막에서 눈의 성장 조절을 돕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분비가 증가하는 반면 빛이 부족하면 안구 형태가 길어져 근시의 원인이 된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밤늦게까지 학원에 다니는 한국 학생들의 경우를 일례로 들었다.
일부 국가에서는 청소년들의 햇빛 노출 시간을 늘려 근시 감소 효과를 본 것으로도 확인됐다. 대만은 2010년 학생들이 하루 2시간 야외활동을 하도록 한 결과 근시율이 2012년 49.4%에서 2015년 46.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역시 비슷한 정책을 내놓았지만 그 이행을 부모에게 맡겨 “내 아이만 그렇게 하면 뒤처질 수 있다”고 걱정한 나머지 제대로 실행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부가 부모들을 설득해 학생들을 야외로 보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한국안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