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놀이 많은 여름철 ‘콘택트렌즈’ 착용 시 주의사항 총정리
세균성 각막염부터 아메바 감염까지…물놀이 땐 렌즈 ‘OFF’, 위생 관리 ‘ON’
여름철 무더위와 방학 시즌을 맞아 많은 이들이 수영장과 해수욕장을 찾고 있다. 하지만 고온다습한 환경과 인파로 붐비는 물놀이는 눈 건강에 있어 치명적인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콘택트렌즈 착용자라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렌즈 낀 채 수영? 세균성 각막염 위험 급증
여름철 대표적인 눈 질환 중 하나인 세균성 각막염은 포도상구균, 녹농균 등의 세균이 각막에 침투해 발생한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채 수영할 경우, 렌즈와 각막 사이에 병원성 세균이 오래 머무르며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심한 경우 각막에 구멍이 생기거나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더 치명적인 감염은 바로 ‘아메바 각막염’이다. 수돗물이나 자연수에 서식하는 원생동물인 아칸타미바는 렌즈 세척 시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 감염 위험이 있으며, 물놀이 중에도 렌즈를 낀 채 있으면 각막에 침투할 수 있다. 치료가 어려울 뿐아니라, 각막 손상과 실명까지 유발할 수 있어 고위험 질환으로 분류된다.
물놀이 후 눈 충혈·이물감 있으면 바로 병원행
수영장과 바닷물은 위생 관리가 어렵고, 바이러스성 질환도 퍼지기 쉽다. 특히 유행성 각결막염은 여름철 급증하는 바이러스성 결막염으로, 아데노바이러스가 수영장 물이나 접촉을 통해 전염되며 눈곱, 충혈, 이물감, 통증을 유발한다. 콘택트렌즈는 이 바이러스가 달라붙기 쉬워 감염률을 더욱 높이는 요인이다.
급성 출혈성 결막염이나 인두결막염 역시 수영장이나 공공장소에서 전염되기 쉬운 여름철 질환으로, 렌즈 착용이 감염을 확산시키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물놀이 후 눈이 따갑거나 이물감, 분비물, 충혈 등의 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안과를 찾아야 한다.
여름철 렌즈 착용자가 꼭 지켜야 할 5가지 수칙
수영·해수욕 중 렌즈 착용 금지
물놀이 전 반드시 렌즈를 빼고, 필요 시 처방 수경이나 일회용 렌즈+물안경 착용을 고려해야 한다.
렌즈 및 보관 용기 청결 유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세균 번식이 빠르므로, 렌즈 세척액은 매일 교체하고 용기는 주기적으로 소독한다.
손 위생 철저히
렌즈 착용 전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 건조시켜야 세균 감염을 막을 수 있다.
수면 중 렌즈 착용 금지
수면 중 착용은 산소 공급을 제한해 각막을 약화시키므로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
여름철 눈 질환은 초기 증상이 미미할 수 있어 정기 검진이 예방에 중요하다.
샤일리안과 장민욱 원장은 “여름철 병원성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만큼, 콘택트렌즈는 물놀이 시 피하고 평소에도 철저한 위생관리와 올바른 착용 습관이 중요하다”며 “렌즈 사용자들은 특히 감염병 예방과 자외선 차단에 더 신경 써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TIP] 여름철 콘택트렌즈 사용자 행동수칙
✅ 물놀이 땐 렌즈 착용 금지
✅ 렌즈 세척액 매일 교체, 용기 소독
✅ 렌즈 손질 전 손 위생 필수
✅ 자외선 차단 안경 착용
✅ 증상 발생 시 즉시 안과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