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택트렌즈

Q  렌즈와 안압

보통 안과에 가면 안압을 기본적으로 측정하는데, 안압과 렌즈 처방과는 무슨 관계가 있나요? 가끔 고객님들이 물어보면 제가 모르기에 답변을 준적이 없습니다. 

A  안압이 높으면 대개 녹내장의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안압이 높다고 해서 항상 녹내장이 있는 것은 아니니 선별을 잘 하셔야 합니다. 대체적으로 안압이 높으면 시신경유두주변이 순환부전을 일으켜 시야이상, 시신경 위축, 시신경 함몰 등을 초래하여 회복할 수 없는 시력저하를 가져옵니다.
안압검사는 병적요인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본적 검사로 안과에서는 기본적으로 거의 모든 환자에게 시행하는 검사이고, 그 결과 이상수치가 발견되면 렌즈를 권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는 렌즈가 직접적으로 안압이나 시신경, 방수 등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렌즈의 관리소홀 등으로 인한 2차 합병증으로 상태를 악화 시킬 수도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렌즈 처방과 안압검사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Q  건성안에 좋은 제품

건성안 환자에게 어떤 제품이 좋을까요? 눈물량이 부족한 건안 환자인데, 소프트토릭을 원합니다. S-3.50 C-100*180입니다. 

A 저같으면 BC를 보고 결정할 것 같은데 k값이 7.8이하라면 thin zone의 디자인 렌즈를 권할 것 같습니다. 물론 더 큰 k값이라도 베이스커브만 조정이 된다면 thin zone이 확실히 낫습니다.

A 제가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냥 참고만 하세요. 우선 환자와 믿음이 형성이 되어야만 가능합니다. 환자에게 건성안이란 사실을 강요하지 마시고 여러 가지 증상을 먼저 애기하시며 이런 증상이 대표적인 건안의 증상임을 입증하십시오. 소프트의 함수율과 하드렌즈의 함수율의 다른점을 비교하시며 첫 번째 반드시 렌즈 에이전트와 합의를 하신 후에 공장장님과 직접 통화를 하시면 더 좋아 합니다. 렌즈를 조금 두껍게 함수율은 저함수로 하시고 정확한 렌즈 싸이즈와 BC를, 두 번째로는 고함수로 얇은 렌즈를 주문하세요. 건성안 환자들에게 우선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하시고(경험상 70% 이상), 그 방법이 안되는 환자에게 다시 두 번째 방법을 사용하시면 5-8% 정도 성공할 수 있을 겁니다. 나머지 환자들에게는 디스포저블이나 하드렌즈를 권하고 있습니다. 최선의 방법은 아니지만 제가 사용하는 방법이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Q  건안에 적합한 일회용 렌즈

A 건성안은 일단 함수율이 적은 렌즈일수록 좋습니다. 왜냐하면 렌즈의 기능을 그대로 살리려면 렌즈가 품고 있는 함수율을 유지해야 하는데 함수율이 높으면 렌즈가 눈물을 많이 흡수해야하기 때문에 더 건성안이 될 수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함수율이 어느 정도면 좋을지는 눈물검사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38∼55%의 함수율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A 건성안의 경우 고함수소프트렌즈보다는 RGP나 저함수 소프트렌즈를 권하고 있습니다. 이 둘 중 어느 것이 좋다고는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가능하면 RGP가 낫고, 정말 심한 건성안이라면 위에서 말한것처럼 각막에 손상이 갈 수 있으므로 저함수 소프트가 가장 좋은 처방이 될 것 같습니다. 함수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렌즈가 눈물을 빼앗아가기 때문에 건성안에는 고함수보다는 저함수를 권합니다.

A 저는 아직까지는 건성안에 저함수 렌즈보다는 약간 Flat RGP 처방을 선호하는데 요즘 무척 혼동이 오네요.

A 저함수 렌즈를 사용 하더라도 자연 증발이나 표면 건조 등으로 인해 전체적 렌즈의 건조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건안이라면 렌즈를 착용 안하는게 제일 좋지요. 하지만 어쩔수 없이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저함수 렌즈가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RGP를 착용하면 렌즈의 자극에 의해(결막 등의 터치) 자극적으로 누액이 나올 수는 있습니다.

 

◆ 굴절검사와 처방

Q  약도난시 축잡기?

A 타각적 굴절검사 측정결과의 실린더 렌즈는 그대로 두고, 단안씩 좌우의 구면 조정을 하여 최고 시력을 얻을 수 있는 가장 플러스측의 도수를 구합니다. (운무 시행) 정독 가능한 가장 작은 시력 보다 1∼2단계 큰 시표 여러개를 제시합니다.
그 다음 난시축의 결정은 좌안을 차폐하고 크로스 실린더의 회전축이 타각적 굴절검사에서 얻은 실린더 축과 겹치도록 크로스 실린더르 맞춤니다. 크로스 실린더를 반전시키면서 “1번과 2번 중에서 어느 쪽이 잘보입니까?”라고 묻습니다. 물론 차폐를 병행해야겠지요.
마이너스 교정 실린더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교정 실린더의 축을 잘 보인다고 대답한 쪽의 마이너스 축(통상 빨간 점)측에 5도 이동합니다. 플러스 교정 실린더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교정 실린더의 축을 잘 보인다고 대답한 쪽의 플러스 축(하얀 점)측에 5도 이동합니다. 크로스 실린더의 회전축을 교정 실린더의 축과 겹치도록 수정한 후, 크로스 실린더를 반전시키기 전과 후의 보이는 상태가 똑같이 될 때까지 반복하여 검사합니다.
그 다음 난시 도수를 결정하는데 크로스 실린더의 마이너스 축 또는 플러스 축이 교정 실린더의 축과 겹치도록 크로스 실린더를 맞춤니다. 크로스 실린더를 반전시키면서 “1번과 2번 중 어느 쪽이 잘 보입니까?”라고 물은 후 마이너스 교정 실린더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크로스 실린더의 마이너스 축을 교정 실린더의 축에 겹쳤을 때 가장 잘 보인다고 대답하면 교정 실린더의 도수를 -0.25D 더합니다. 반대의 경우는 -0.25D를 줄이면 되겠지요.
크로스 실린더를 반전시키기 전과 후의 보이는 상태가 똑깥이 될 때까지 반복 검사합니다. 이때 최고 시력을 유지하기 위해, 마이너스 실린더를 0.5D 더할때마다 구면렌즈를 0.25D 플러스 측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망막에 맺히는 착락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지요.

A 앞의 설명에 추가하자면, 가장 어려운 것은 약도난시의 축과 도수겠지요. 성장기 피검자들에게는 약도난시라도 처방을 해줘야 융합에 도움을 주어 눈 피곤증이나 두통이 감소되는 것을 많이 봤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운무를 이용한 방사선 시표에서 대강의 축을 확인하고, 약간의 과교정 상태에서 크로스 실린더를 이용한 세밀한 축을 잡거든요.
전자의 경우에는 난시가 있는데, 후자의 경우로 검사할 때는 난시가 없는 경우가 약도에서는 상당히 많이 접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야간 근시를 검사하는 작은 원형의 점 시표로 확인을 해보면 난시의 교정유무를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피검자가 느끼는 감이 중요하지 모든 시표는 오차가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세요. 난시는 검사자들마다 다르겠지만 저교정을 하는 것이 눈에 편하고, 시력도 큰 차이가 없거든요. 성장기 피검자들은 적응도 빠르고, 시력저하도 덜 되는 것 같아요. 약도에 난시라도 가급적이면 꼭 잡아주세요. 피검자가 만족감을 많이 느끼거든요.


Q  양안 균형검사

양안 균형검사 중 권장하시는 방법은 어느 방법 인가요?
로터리프리즘법, 편광법 등 여러 가지 방법 중 가장 정확한 방법과 많이 하는 방법 및 장점과 단점 등에 대해 의견을 주셨으면 합니다.

A 요즘은 양안 개방식 양안 균형검사를 더 선호합니다.
양안 균형 검사법에는 교호 Cover Test법으로 일반적으로 Phoropter가 없는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최고시력보다 1∼2단계 낮은 시표(보통 +0.50을 가한 후)를 보게하고 좌우 교대로 “어느 쪽이 잘 보이는가요?”라고 묻는 방법으로 가장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양안을 동시에 비교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로터리프리즘법(프리즘 분리법), 편광법, Red-Green법이 있는데 어느 방법이 가장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근시인 경우는 최고시력이 나오는 최강의 플러스 도수: MPMVA(Max plus to Max V.A) 원칙으로 가장 정확한 도수 보다는 편안한 안경이 되도록 해주면 됩니다.


저작권자 © 한국안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