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사업자 소기업으로 육성, 8대 전략과제 추진

경상북도가 2030년까지 매출액 1~2억원의 억대 소상공 업체 7만4000개를 육성한다는 내용의 '억대 소상공인 육성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소상공인 사업체는 36만7000개. 경북 전체 기업의 96%이자 전체 근로자의 55%가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전체 소상공인의 61.6%가 매출액 1억원 미만. 도는 이처럼 열악한 경영규모를 중장기적으로 개선하고자 2030년까지 매출액 1~2억원의 억대 소상공 업체를 5만1000개에서 7만4000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억대 소상공인을 소기업으로까지 육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8대 중점 전략과제로 △소상공인과 소통하는 '소상공인앱' 구축 △소상공인의 행복한 출생을 지원하는 '아이보듬' 사업 추진 △산재보험·고용보험 확대지원으로 가정지킴이 강화 △소상공인 경영자금 부담 경감 △창업의 성공신화를 창출하는 'I-CORN 창업학교' 운영 △나만의 레시피로 성공하는 '부자키움 프로젝트' 운영 △로컬브랜딩으로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소상공인 육성 △대학과 함께하는 영세소상공인 온라인 역량 강화 등을 제시했다.
이 중 ‘소상공인 전용 앱 구축’과 ‘아이보듬’ 대학과 함께하는 '영세 소상공인 역량 강화' 정책은 전국 최초로 시행된다.
특히, '소상공인을 위한 전용 앱 구축'은 정부와 경북도의 지원 정책을 몰라서 지원받지 못한 도내 소상공인이 61.6%에 이르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마련했다.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는 현장형 정책 발굴을 위한 정책 건의 기능과 고령자를 위한 상담센터 운영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 '아이보듬' 사업은 출산 지원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소상공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출산하는 소상공인에게 경영지원 인력 인건비를 월 200만원씩 6개월간 총 1200만원을 지원한다.
또한 지난해 2월부터 저금리 대체상환 보증을 선제적으로 시행해 소상공인이 지급하는 이자 2%를 지원하고 있으며,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소상공인 부담이 증가하면 이자 2%를 추가해 4%까지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