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징후기업’도 14만곳으로 증가

소상공인 정책자금의 부실률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그만큼 소상공인들의 경영여건이 어려워지고 있다.

지난 16일 더불어민주당 오기형 의원실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소상공인 정책자금의 부실률은 13.7%에 달한다. 1조127억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이 수치는 은행 등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소상공인진흥공단이 자영업자들에게 직접 대출해 준 자금 중 연체 등 문제가 발생한 금액이다.

지난 2022년 말 2.7%였던 부실률은 2023년 말 9.9%로 급증한 후 지난해에는 13%를 넘어선 바 있다. 그리고 이번에 최고치를 갱신했다. 그만큼 소상공인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낸다. 

부실금액도 2022년 말 2,195억원에 비해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소상공인 정책자금의 누적 대출잔액은 2022년 기준 13조4583억원에서 2024년 기준 12조8550억원으로 일부 감소했지만, 부실률은 더 증가한 실정이다. 

부실금액 역시 2022년 말 기준 2195억원에서 작년 말엔 5배 가까이 늘었다. 소상공인 정책자금 누적 대출잔액은 2022년 13조4583억원에서 2024년 12조8550억원으로 감소했으나 부실률은 더 높아진 셈이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공단이 관리하고 있는 부실징후기업도 급증하고 있어서다. 부실징후기업은 정책자금을 15일 이상 연체하고 있거나 신용회복위원회, 새출발기금 등을 통해 공적 채무조정에 나선 기업을 말한다.

2022년 3만7355개사에서 2023년 8만4726개사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지난해엔 전년 대비 72% 급증한 14만5338개사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한국안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